I digress.

[번역] 자코뱅 기사 "적과 흑 The Red and the Black" ① 본문

공부하기/정치·사회

[번역] 자코뱅 기사 "적과 흑 The Red and the Black" ①

빨간도란쓰

Profit is the motor of capitalism. What would it be under socialism?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내리다 부제가 흥미로워 읽기 시작했다. 문제의식은 마음에 든다. 종종 와서 번역해볼까 한다. 번역 첨삭 및 수정 제안 환영합니다



"The Red and the Black" by Seth Ackerman, <Jacobin> 

"적과 흑", 세스 애커만


Profit is the motor of capitalism. What would it be under socialism? 

자본주의의 동력은 이윤이다. 사회주의의 동력은 무엇일까? 


Radicals have a habit of speaking in the conditional. Underlying all their talk about the changes they’d like to see in the world is the uneasy knowledge that our social system places rigid limits on how much change can be accomplished now. “After the revolution . . .” is the wistful, ironic preface to many a fondly expressed wish on the Left.


급진주의자들은 가정법으로 말하기를 좋아한다. 그들이 줄기차게 외치는 변화에 대한 담론 뒤에는, 실은 현재 사회 체제가 그러한 변화의 가능성을 엄격히 차단하고 있다는 인정하기 싫은 현실이 자리하고 있다. "혁명이 도래한 후에는..."이라는 아이러니한 서언(序言)이 많은 좌파 진영의 희망적 발화를 장식한다.


Why, then, are radicals so hesitant to talk about what a different system might look like? One of the oldest and most influential objections to such talk comes from Marx, with his oft-quoted scorn toward utopian “recipes” for the “cookshops of the future.” The moral of the quote, supposedly, is that a future society must emerge from the spontaneous dynamics of history, not from the isolated imaginings of some scribbler. This isn’t without some irony, since two years later Marx the scribbler wrote his own little cookshop recipe in his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 — it involved labor tokens, storehouses of goods, and an accounting system to determine how much workers would get paid.


그렇다면 왜 급진주의자들은 다른 체제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그토록 주저할까? 그러한 논의에 반대하는 가장 오래되고도 영향력 있는 이론(異論)은 맑스와 자주 인용되는 그의 "미래의 조리상점"을 위한 유토피아적 "조리법"에 대한 경멸이다. 인용된 맑스의 주장이 담은 핵심 교훈은 말하자면 '미래 사회는 역사의 즉흥적인 역동 중에서 나타나는 것이지, 어느 글쟁이의 뇌내망상에서 말미암는 것이 아니다' 쯤 된다. 공교롭게도 2년 후 글쟁이 맑스가 <고타 강령 비판>에서 노동교환권, 상품 저장창고, 교환비율을 결정하는 회계 시스템 등을 포괄하는 그만의 '조리법'을 제시하긴 했지만 말이다.


As it happens, Marx’s comment was a riposte to a negative review he’d received in a Paris newspaper run by devotees of the philosopher Auguste Comte, criticizing Marx for offering no concrete alternative to the social system he condemned. (That’s why, in the original quote, he asks wryly if the recipes the reviewers had hoped to see happened to be “Comtist” ones.) To grasp the context, you have to understand that like many utopian writers of the era, Comte proffered scenarios for a future society that were marked by an almost deranged grandiosity, featuring precise and fantastically detailed instructions on practically every facet of daily life. It was this obsessive kind of future-painting that Marx was really taking aim at.


사실 맑스의 경멸은 파리의 어느 신문으로부터 받은 부정적인 서평에 대한 반발로 나온 것이었다. 철학자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를 신봉하던 이 신문은 맑스가 본인이 규탄하는 사회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래서 맑스의 인용구 원문을 보면, 서평을 쓴 이들이 원하는 것이 콩티스트Comtist (역: Communist의 말장난) 조리법인지를 심술궃게 묻는다.)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짚고 넘어가자면, 콩트는 당대의 여러 이상주의적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사실상 일상 생활의 모든 면면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망상에 가까운 거창함으로 뒤범벅된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맑스의 비판은 다름 아니라 이런 가히 도착적인 미래 사회 그리기에 대한 강박을 겨누고 있었다.


A related cause for reticence is the feeling that to spell out ideas for future social institutions amounts to a sort of technocratic elitism that stifles the utopian élan of the people-in-motion. Great social change never happens without multitudes becoming inspired to heroic acts of enthusiasm, and patient attempts to grapple realistically with the material problems of a functioning society are rarely so inspiring. This is by no means a trivial objection; one of the oldest fallacies on the Left is the illusion that change happens when someone comes along with a brilliant ten-point plan and manages to convince everyone of its genius.


급진주의자들이 미래의 사회적 제도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하는 것에 소극적인 또 다른 이유는 그러한 논의가 기술관료주의적이며 엘리트주의의 일종으로서 약동하는 민중의 생동성을 저해하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이다. 위대한 사회적 변화는 다수가 열정적인 영웅심으로 고무될 때 일어나며, 사회 기능에 대한 현실적이며 물적인 고려에 기반한 느린 고민들은 민중을 고무시키는데 그닥 효과가 없다는 생각인 것이다. 이는 분명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좌파가 쉽게 빠지는 고전적 함정 중 하나는 어떤 천재가 모든 것에 대한 백점짜리 답안을 갖고 나타나 모두를 설득하면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미망이다.


Still, a successful radical project has to appeal to every emotional register: not just those ecstatic moments when history opens up and everything seems possible, but also those pensive and critical moods when even inveterate optimists-of-the-will find doubt and reflection taking over. Even a struggle as epic and impassioned as the movement for the eight-hour day — which “seemed one of the most striking utopias of revolutionary socialism” at the time, as Elie Halévy remembered — was, in the end, about a bureaucratic measure, enforced by legal directives and factory inspecto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렴 성공적인 급진적 기획이라면 그 어떤 순간에도 호소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열광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역사가 어느 방향으로든 전개될 수 있는 그런 시점뿐만 아니라, 가장 완고한 낙관주의자들조차도 의심과 반성으로 돌아서게 되는 처량한 위기의 시점에서도 말이다. 장대하고 열정으로 가득찬 투쟁이었던, 엘리 하비가 당대 "혁명적 사회주의의 가장 매력적인 유토피아적 희망으로 느껴"졌다고 회고하는 1일 8시간 노동을 위한 투쟁조차도, 종국에는 구체적인 법령과 공장 감독관으로 구성된 구체적이며 관료적인 조치에 관한 것이었다.


Maybe the most fundamental reason the Left has been suspicious of such visions is that they have so often been presented as historical endpoints — and endpoints will always be disappointing. The notion that history will reach some final destination where social conflict will disappear and politics come to a close has been a misguided fantasy on the Left since its genesis. Scenarios for the future must never be thought of as final, or even irreversible; rather than regard them as blueprints for some future destination, it would be better to see them simply as maps sketching possible routes out of a maze. Once we exit the labyrinth, it’s up to us to decide what to do next.


어쩌면 좌파가 그러한 구체적 변화의 전망에 의구심을 갖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그 상상들이 흔히 역사의 종착점으로서 제안되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종착점은 항상 실망스러울테니까. 역사가 언젠가 종점에 도달해 모든 사회적 갈등이 종식되고 정치가 소멸할 것이라는 생각은 좌파들이 태초부터 가진 또 다른 잘못된 환상이다. 미래를 위한 시나리오는 절대 최종적이거나 비가역적인 것으로 이해되선 안 된다. 그 시나리오들을 미래의 어떤 종착점을 향한 설계도로 인식하기보단, 우리가 처한 미로를 탈출할 수 있는 가능한 경로들을 스케치한 지도로 바라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미궁을 탈출하고 나면, 우리는 또 다시 어디로 가야할지 결정해야 할 뿐이다.


In this essay, I start from the common socialist assumption that capitalism’s central defects arise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pursuit of private profit and the satisfaction of human needs. Then I sketch some of the considerations that would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in any attempt to remedy those defects.


이 글에서 나는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결함·모순이 사적 이윤의 추구와 인간 욕구의 충족 간의 충돌에 있다는 사회주의의 공통전제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결함을 바로잡기 위해 피할 수 없는 고려사항들을 다룰 것이다.


What I’m not concerned with here is achieving some final and total harmony between the interests of each and the interests of all, or with cleansing humanity of conflict or egotism. I seek the shortest possible step from the society we have now to a society where most productive property is owned in common — not in order to rule out more radical change, but precisely in order to rule it in.


개인과 전체의 이익 간의 완전하고도 최종적인 조화를 이루어내는 일이나 갈등이나 이기심을 인류로부터 완전히 청소해내는 일 따위는 이 글의 관심사가 아니다. 나는 그저 지금의 사회로부터 대부분의 생산자원이 공적으로 소유되는 사회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할 뿐이다. 급진적 기획을 종식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기획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말이다.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inking concretely and practically about how we can free ourselves from social institutions that place such confining limits on the kind of society we are able to have. Because of one thing we can be certain: the present system will either be replaced or it will go on forever.


우리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사회적 제도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논하는 작업을 꺼릴 이유는 없다. 어찌됐든 현재의 체제를 갈아치우지 않는 이상 그것이 영속할 것이라는 것만큼은 확실하니까.


이어지는 번역은 다음 글에서.


[번역] 자코뱅 기사 "적과 흑 The Red and the Black" ②




Comments